컴퓨터 네트워킹 하향식 접근

Chapter 1 컴퓨터 네트워크와 인터넷

1.1 인터넷이란 무엇인가?

  1. 인터넷의 구성요소를 기술하는 방법 ( 인터넷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하드웨워와 소프트웨어 요소를 기술)
  2. 분산 애플리케이션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킹 인프라 관점에서 인터넷을 기술하는 것

1.1.1 구성요소로 본 인터넷

  • 인터넷에 연결되는 모든 장치는 호스트 혹은 종단 시스템(end system) 이라 부른다.

  • 종단시스템은 통신 링크(Communication Link)와 패킷 스위치(packet switch)의 네트워크로 연결된다.

  • 통신링크 : 동충 케이블, 구리선 광 케이블, 라디오 스펙트럼 등을 포함한 다양한 물리매체

    • 각각의 링크들은 다양한 전송률을 이용하여, 데이터를 전송한다.
  • 한 종단시스템에서 다른 종단 시스템으로 보낼 데이터를 가지고 있을때, 그 데이터를 세그먼트로 나누고, 각 세그먼트에 헤더를 붙인다.

  • 이렇게 만들어진 정보 패키지를 패킷(packet)이라고 부른다.

  • 패킷을 목적지 종단 시스템으로 보내지고, 목적지에서 재 조립이 된다.

  • 패킷을 전달해주는 패킷 교환기는 라우터링크 계층 스위치가 있다.

    • 라우터 : 네트워크 코어에서 사용
    • 링크 계층 스위치 :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사용
  • 종단 시스템은 *ISP(Internet Service Provider) *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한다.

    • ISP은 다양한 네트워크들이 있고, ISP 네트워크는 따로 관리되고, IP 프로토콜을 수행하며, 네이밍, 주소배정 방식을 따른다.
  • 인터넷의 구성요소들은 인터넷에서 정보 송수신을 제어하는 프로토콜을 수행하며, TCP, IP가 가장 유명한 프로토콜이다.

    • IP 프로토콜 : 라우터와 종단시스템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패킷 포맷

1.1.2 서비스 측면에서 본 인터넷

애플리케이션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프라 구조로 인터넷을 기술한 방법

  • 서로 데이터를 교환하는 많은 종단 시스템을 포함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분산 애플리케이션 이라고 부른다
    • 인터넷 애플리케이션들은 종단시스템에서만 수행된다. 즉, 패킷교환기에서는 수행이 되지 않는다.
    • 패킷교환기들은 종단시스템 간의 데이터 교환을 쉽게 해주지만, 이 애플리케이션이 무엇을 하는지 관심이 없다.
  • 소켓 인터페이스 : 인터넷에 접속된 종단시스템에서 한 종단시스템에서 다른 종단시스템에서 수행되는 특정 목적지 프로그램에게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요구사항을 명시되어있는 것
    • 예를 들면, 우편 서비스를 이용을 할때, 봉투에 우편을 붙이고, 봉투에 편지를 넣은뒤, 그 봉투를 우체통에 넣는 이 과정을 우편 서비스 인터페이스라고 한다.
    • 즉, 송신프로그램이 데이터를 목적지 프로그램에 전달할수 있도록 따라야하는 과정이 소켓 인터페이스이다.

1.1.3 프로토콜이란 무엇인가?

​ 프로토콜은 둘 이상의 통신 개체 간에 교환되는 메시지 포맷과 순서 뿐 아니라, 메시지의 송수신과 다른 이벤트에 따른 행동들을 정의한다.

ex ) 혼잡제어(congestion - contral) 프로토콜 : 종단 시스템에서 송수신자 간의 전송되는 패킷률을 조절한다.

​ 라우터에서의 프로토콜 : 송신지에서 목적지까지 패킷의 경로를 설정한다.

+ Recent posts